모든계산기 모든계산기.com

필요한 모든 계산을 한 곳에서

⏰ 최저시급 계산기

2025년 최저시급 기준으로 급여를 자동으로 계산합니다. (주휴수당 포함)

2025년 최저시급

10,030 원

전년 대비 170원 인상 (1.7%)

시급을 입력하세요 (기본값: 2025년 최저시급 10,030원)
주휴수당 조건: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 8시간을 포함해서 48시간입니다.

📊 계산 결과

주급 (주휴수당 포함)

0 원

1주일 기준

시급 10,030 원
한주 근무시간 -
주 근로시간 (주휴 제외) -
주휴수당 (8시간) -
주급 (세전) -
월급 환산 (209시간) -
연봉 환산 (월급 × 12) -
💡 주휴수당 포함 계산

-

⚠️ 주의사항
  •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지급됩니다
  • 야간·휴일 근로수당은 별도 계산이 필요합니다
  • 4대보험 공제 전 금액입니다
  • 본 계산은 참고용이며, 정확한 금액은 근로계약서를 확인하세요

💡 최저임금제도란?

국가가 근로자의 최저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, 사용자에게 그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하는 제도입니다.

월 소정근로시간이란?

주 40시간 근무 시 법정 월 소정근로시간은 209시간입니다.

계산 방식:

  • (주 40시간 + 주휴 8시간) × 52주 ÷ 12개월 = 208시간
  • 법정 기준으로는 209시간을 사용합니다
  • 월급 = 시급 × 209시간 (주 40시간 근무 기준)

최저시급 연도별 변화

연도 시급 인상률 월급 (209시간)
2025년 10,030원 1.7% 2,096,270원
2024년 9,860원 2.5% 2,060,740원
2023년 9,620원 5.0% 2,010,580원

주휴수당이란?
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유급휴일 1일(8시간)을 보장하는 수당입니다.

계산 방식:

  • 1주 소정근로시간 ÷ 40시간 × 8시간 = 주휴시간
  • 주휴시간 × 시급 = 주휴수당
  • 예시: 주 40시간 근무 시 → (40 ÷ 40) × 8 = 8시간 주휴수당

주휴수당 지급 조건

  • 주 15시간 이상 근무
  • 1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
  • 결근·지각·조퇴 시 주휴수당 미지급 가능

최저임금 위반 시

최저임금에 미달하는 금액을 지급한 사용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.

최저임금 적용 제외

  • 수습사용 중인 자 (수습 3개월 이내, 최저임금의 90%)
  • 정신장애나 신체장애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 자 (고용노동부 인가 필요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