📊 DSR 계산기
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을 계산하여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합니다.
📊 계산 결과
DSR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0 %
-
연 소득
-
기존 대출 월 상환액
-
신규 대출 월 상환액
-
총 월 상환액
-
연간 총 상환액
-
💡 DSR 기준
- 40% 이하: 정상적인 대출 가능
- 40% 초과: 대출 제한 또는 불가
- 은행권 가계대출 DSR 40% 규제 적용 중
💡 DSR이란?
DSR(Debt Service Ratio,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은 연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비율입니다. 2023년부터 은행권 가계대출에 40% 규제가 적용되고 있습니다.
DSR 계산 공식
DSR = (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) × 100
DSR과 DTI 차이
구분 | DSR | DTI |
---|---|---|
대상 | 모든 대출 | 주택담보대출만 |
계산방식 | 원금+이자 | 원금+이자 |
규제 수준 | 40% | 지역별 상이 |
DSR 규제 대상
- 은행권 가계대출 (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 등)
- 2금융권(저축은행, 카드사 등)은 50% 적용
- 모든 금융권 대출이 합산 계산됨
DSR 개선 방법
- 기존 대출 상환 또는 중도상환
- 대출 기간 연장하여 월 상환액 줄이기
- 소득 증빙 자료 추가 제출
- 배우자 소득 합산 (공동명의)